기타공부/회계공부
-
ROA, ROE 그리고 그 둘의 관계기타공부/회계공부 2020. 12. 19. 16:55
ROA ( Return on Asset : 총자산순이익율 ) - 얼마나 기업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ROA가 나타내는 의미는 아래와 같다. 총자산순이익율 = 매출액순이익율(%) * 총자산회전율(회) 매출액순이익율은 매출액이나 매출총이익,영업이익등으로 생각하기 어려운 매출액 대비 비용에 대한 지표이다. 매출액이 높더라도 비용(판관비에 대한)이 높아지면 매출액순이익율은 낮아지게 된다. 총자산회전율은 자산 혹은 자본의 활용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써 1회기 안에 자산에 몇배에 달하는 매출액을 달성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 두가지 지표를 가지고 산출해내는 ROA는 매출적인 측면에서는 매출액을 늘려야 하고 재무적이니 측면에서는 회전율을 높여야 한다. ROE ( Retur..
-
경영목표와 경영전략기타공부/회계공부 2020. 11. 3. 00:59
1. 경영목표 - 경영목표의 가장 바탕이 되는 것은 경영이념 혹은 경영 철학일 것이다. 이러한 경영이념은 사람이 자신의 존재 의의를 찾는 것처럼 법'인'의 존재 의의를 설정하는 것과 같다. 삼성전자의 홈페이지를 찾아보면 위 와 같은 것이 삼성전자의 경영철학이다. lg전자의 경영철학을 찾아보니 위와 같은 경영철학을 가지고 회사를 운영한다. 이윤을 극대화 하는 것만이 기업의 목표는 아니라는 것이다. - 이러한 경영이념의 3요소는 존재 의의, 경영자세, 행동규범이 될 것이다. 2. 경영비전 - 기업이 나아갈 미래상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형태로 제시되어야 한다. - 사업을 발전시켜나갈 중심 분야. - 가장 주력해야 할 제품, 시장. - 비전을 성공시키기 위한 경영자원 3. 경영전략 - 경영비전을 완성시키..
-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차이 그리고 관리회계의 역할기타공부/회계공부 2020. 11. 1. 22:21
기업회계는 외부용 재무회계와 내부용 관리회계로 나뉜다. 1. 재무회계 - 외부용인 재무회계는 주로 기업의 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회사의 상황에 대해서 보고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 제조업체는 생산활동 일체(원재료 구매, 생산, 제조품 판매) 에 대한 현상을 재무제표로 정리해서 외부인들에게 제공한다. -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 손익계산서(Profit and Loss Statement) , 제조원가 명세서( Manufacturing cost statement ) 등으로 구성된다. 2. 관리회계 가. 의사결정 데이터의 제공 - 관리회계의 메인 역할은 경영자가 회사의 이익이 얼마 정도 발생하고 있는가의 판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데 있다. - 경..
-
회계) 제조기업에서의 재고자산의 이동, 변동기타공부/회계공부 2020. 10. 24. 18:43
전산회계 혹은 TAT, FAT를 공부할 때 보면 제조기업의 원가관리라는 파트가 따로 있다. 그만큼 회계에서 제조기업이라고 하는 업무 도메인은 일반적인 상거래 기업과는 따로 구분되는 부분이 있다. (말은 거창하게 쓰지만 나는 회계업무 종사자가 아니라 그냥 프로그래머다. 프로그래머로써 보는 관점이니 전문성에 대해서는 의심해주시기 바란다. ) 제조기업과 상거래 기업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아마도 상행위일 거라 생각한다. 재고자산에 대해서는 물건이 입고가 되는 행위가 있는 기업이라면 필연적으로 가져가야 할 개념일 텐데 이때 상행위 기업에서는 그 재고자산이 본사에 입고될 때 나오는 계정과목이 아마도 상품 일 것이다. 그 후 판매가 될 때에는 또다시 상품으로 판매가 될 것이기에 입고금액 수량 등을 알 수 있다면 총매출..
-
회계) 자산이란 무엇인가 그 중에서도 유동자산기타공부/회계공부 2020. 8. 29. 17:47
회계를 공부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중에 하나가 바로 자산이다. 일 때문에 회계를 시작하면서 느낀 점이 너무 회계공부를 가르키는 책이 어렵게 되어 있다는 것이다. 누군가는 자산 = 부채 + 자본 이라고 가르키며 누군가는 자산 = 부채 + 자본 + 수익 - 비용 이라고 가르킨다. 이 말들이 틀린말은 아닌데 뭐가 정확하지가 않다. 헷갈린다는게 나에게는 문제였다. 그리고 마구 책에서 나오는 말들 유동자산,비유동자산, 당좌자산,재고자산,투자자산,유형자산,비유형자산,기타비유동자산 이라는 것이 너무나도 어렵다. 달달 외우려고 하니 절대 안되서 나름 머리속에서 심플하게 굴리는 법을 익혔는데 이게 이 글을 읽으시는 분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회사의 설립부터 생각하면 된다. 1 . 내가 주식회사를 만들면서 자..
-
초보회계) 선급비용과 선수수익기타공부/회계공부 2020. 8. 4. 01:43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 회계개발에 참여하면서 도저히 그냥 회계를 시키는대로만 할 수 없어서 따로 공부를 시작했다. T계정이고 뭐고 대충 이해는 하지만 항상 헷갈리는 것이 이 선급비용과 선수수익이다. 선급비용에 대해서 가장 많은 예를 드는 것이 아마도 임차료 혹은 보험료일 텐데 그 중에서 보험료로 살펴보도록 하자. 상황은 이러하다 회사에서 화재보험에 가입했고 그 화재보험료는 한번에 12개월치를 납입해야한다. 12개월치의 비용은 1,200만원 이라고 가정하자. 1월부터 12월까지의 보험료를 한번에 납입하면 아주 깔끔하게 일자 차변계정 차변금액 대변계정 대변금액 2020/01/01 보험료 1,200만원 보통예금 1,200만원 이런식으로 분개가 일어나게 하면 된다. 하지만 운나쁘게도 2020년도 5월에 계약을 했..